Faithlife Store
Sign In
Products>성령 해석학: 오순절 관점으로 성서 읽기

성령 해석학: 오순절 관점으로 성서 읽기

Digital Logos Edition

Logos Editions are fully connected to your library and Bible study tools.

$33.99

성서 해석에 있어 성령의 역할을 탐구하는 (현존하는) 가장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책이 나왔다.『성령 해석학: 오순절 관점으로 성서 읽기』는 초기 교회에 힘을 부여해준 오순절 성령 체험 이후 오순절주의를 비롯한 기독교의 여러 부흥운동에서 지속된, 성령의 조명 및 인도를 강조하는 성서 해석의 관점이 오늘날 우리가 성서를 읽는 방식을 어떻게 역동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지를 성서학자인 크레이그 키너가 성서에 대한 역사비평적 지식과 자신의 경험 및 신념을 결합하여 심도 있게 고찰한 성서 해석학 연구서다. 키너는 성령의 인도를 받는 성서 해석, 즉 성령 해석학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서술하며, 이런 해석학의 토대로서 말씀과 성령에 대한 인식론의 함의를 탐구한다. 그리고 어떻게 성서 자체가 성서의 메시지에 대한 경험적 적용의 본보기가 되는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성서에 대한 학문적 접근법과 경험적인 접근법 사이의 간극을 연결하면서 이 책은 성령의 영감을 받은 성서 본문과 신자들이 경험하는 성령 체험 모두에 충실한 성서 해석 방식을 제시한다.

이 책에서 저자가 줄곧 주장하는 것은 성령의 조명 및 인도를 강조하는 성령 해석학이 오순절 혹은 은사주의의 특정 교파나 교단에 국한된 해석학이 아니라 성서 본문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계시되는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다름 아닌 기독교 해석학이라는 점이다. 키너는 유명 성서학자답게 성서 해석에 대한 수많은 학자들의 비평적 연구와 더불어 저자 자신과 여러 개인 및 공동체의 영적 체험을 넘나들면서 성서 해석과 관련된 폭넓은 관심을 다양한 주제 안에 풍부하게 담아냈다. 이를 통해 그는 그동안 반지성주의라는 이유로 종종 폄하되어왔던 오순절 혹은 은사주의의 관점이 오늘날 우리의 성서 읽기를 더욱 역동적인 경험적 읽기로서 보완해주는 대안적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무엇보다 이 책은 성서에 대한 학문적 연구와 성령의 조명 그리고 성서의 메시지를 오늘날 우리의 삶에 실제로 적용하는 것을 모두 포괄하는 진정한 성서 해석에 대한 의미 있는 통찰을 제공해준다.

결론적으로 본서는 오순절 해석학을 집대성한 수작이라 할 수 있다. 오순절 해석학은 성서 텍스트와 신자의 현재적 경험을 성령의 감동과 인도를 연결고리 삼아 통합함으로써, 그때 그곳에서 일어났던 사건을 지금 여기서 재현함으로써 결국 급진적 제자도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성령 해석학이야말로 그 어떤 종류의 해석학보다 가장 급진적인 해석학이라고 할 수 있다.

  • 서문
  • 감사의 글
  • 약어

  • 서론
  • 이 책에서 다루지 않는 것
  • 성령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 성령에 대한 광의의 기독교 해석
  • 나의 개인적 배경

  • 제1부 실천과 선교를 향한 신학적 읽기
  • 1장 경험적 읽기
  • 사도행전 2장에 대한 초기 오순절주의의 선교적 읽기
  • 성서적 읽기는 경험적 읽기다
  • 결론

  • 2장 오순절 관점으로 읽기
  • 하나님의 마음 알기
  • 선교적 읽기
  • 성령 충만한 경험 가운데 읽기
  • 겸손한 읽기
  • 종말론적 읽기
  • 비은사중지론적 혹은 은사지속론적 읽기
  • 결론

  • 제2부 보편적 읽기(Global Reading)
  • 3장 보편적 읽기: 오순절의 성서적 모델
  • 바벨탑 뒤집기
  • 사도행전에서 방언의 내러티브적 기능
  • 전통적인 오순절 해석에서 성령 세례와의 연결
  • 방언과 교차문화적 선교
  • 이중문화적인 헬라파(사도행전 6장)
  • 결론

  • 4장 보편적 읽기: 상황화와 성서
  • 도입: 성서와 상황
  • 교차문화적 정경으로서의 성서
  • 성서에 관한 다양한 문화의 통찰들
  • 성서 내의 교차문화적 소통: 사례 연구
  • 성서 내의 상황화
  • 성서에서 새로운 상황에 대한 재상황화
  • 결론

  • 5장 타문화 정보의 필요
  • 상황화는 불가피하다
  • 문화는 우리가 문화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형성한다
  • 사각지대
  • 본문에 우선순위 매기기
  • 성서의 가르침과 문화적 제국주의
  • 오늘날 보편적 교회의 목소리 듣기
  • 방법론에 관한 간결한 추기/li>
  • 결론

  • 6장 제3세계의 가치 있는 통찰
  • 사례 연구 I: 영
  • 사례 연구 II: 기적
  • 결론

  • 제3부 의도된 의미와의 연결
  • 7장 측정 막대기 (The Measuring Stick)
  • 정경 문헌의 형성
  • 해석의 목적은 방법을 결정한다
  • 오순절 전통과 정경
  • 정경의 목적
  • 성서적 성령, 성령의 영감에 의한 성서
  • 결론

  • 8장 고대의 의미가 중요한가?
  • (포스트)모던 혹은 고대의 의미?
  • 잠재적으로 모호한 명칭
  • 고대 상황에 대한 비뿔어진 거부
  • 본문의 고대 의미
  • 고대 상황에 대한 나의 오순절적 간증
  • 현대적 읽기 방식과 전근대적 읽기 방식
  • 결론

  • 9장 저자를 위해 남겨진 공간?
  • 오늘날 저자의 의도?
  • 내포 저자와 저자의 의도 파악의 한계
  • 결론

  • 10장 둘 다
  • 문학적 접근과 역사적 접근 둘 다
  • 고대와 현대의 의미 둘 다
  • 몇몇 읽기는 다른 읽기보다 더 유익하다
  • 고대의 의미를 넘어서
  • 결론

  • 제4부 인식론과 성령
  • 제11장 말씀과 성령의 인식론
  • 전통적인 인식론적 접근법들과 한계
  • 하나님 중심적이고 그리스도 중심적인 인식론
  • 케리그마적 인식론에서 경험적·증언적 증거
  • 인식적 헌신으로서의 믿음
  • 신실한 읽기에 관한 예들
  • 심판 아래 있는 세계관들

  • 12장 성서 인식론과 해석학
  • 진리에 대한 담대한 주장들
  • 세계관으로서의 불신
  • 요한의 인식론적 이원론
  • 결론

  • 13장 진리로서의 성서 읽기
  • 성서 신뢰하기
  • 진리는 장르가 아니다
  • 하나님의 말씀을 믿는다는 것의 실제 의미
  • 믿음의 상상력
  • 결론

  • 제5부 성서 읽기를 위한 성서 내적 모델
  • 14장 예수는 우리에게 성서를 어떻게 들으라고 요청하는가?
  • 예수는 상황을 전제한다
  • 율법의 보다 중대한 문제들
  • 예수는 성서를 자신의 시대에 적용한다
  • 율법 이상의 것
  •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의 이상을 회복시킨다
  • 다르게 생각해보기
  • 예수의 기독론적 해석
  • 결론

  • 15장 믿음의 법으로서 율법(Torah) 읽기
  • 읽기의 두 가지 방식
  • 율법의 정신: 지속적 원칙들, 수정된 내용
  • 바울의 원칙 적용하기
  • 성서 율법 해석하기
  • 결론

  • 16장 기독론적 읽기 또는 개인적 적용?
  • 강요된 선택
  • 스데반의 그리스도 중심적 해석
  • 마태의 그리스도 중심적 읽기
  • 복음서의 다른 유비들
  • 유비와 적용
  • 성서와 일치하는 개인적 적용
  • 본보기를 위한 성서 내러티브 읽기
  • 단지 연대기가 아닌, 우리를 위한 유형들
  • 성서 적용 방식의 일관성
  • 율법의 조문과 성령
  • 궁극적 말씀
  • 결론

  • 제6부 누구의 은사주의 해석인가?
  • 17장 순진한 “오순절식” 읽기 대 성서적으로 민감한 오순절식 읽기
  • 대중적 접근
  • 이 접근법의 문제점
  • 잘못된 종류의 경험적 읽기
  • 대중적 오순절 해석학이 잘못 적용된 몇 가지 예
  • 긍정적 예: 고린도전서 14장 경험적으로 다시 읽기
  • 결론

  • 18장 보편적인 오순절 공동체는 일종의 안전망인가?
  • 공동체와 해석
  • 누가 오순절 공동체인가?
  • 은사주의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만들기
  • 단순한 은사주의적 교리가 아닌, 은사주의적 경험
  • 결론 개인적으로 그리고 역사적으로 말하는 성서

  • 이 책의 요지
  • 기독교 해석학으로서의 오순절 해석학
  • 성령과 적용
  • 부록 A 이해를 연결하기 위한 몇몇 이론적 시도
  • 부록 B 탈식민주의 접근법들
  • 다양한 접근법
  • 후기-탈식민주의적 읽기?
  • 새로운 민족 중심주의를 피하는 것의 중요성
  • 부록 C 보편적인 은사주의 학술 공동체
  • 참고문헌
이 책의 주제는 오순절 성서 해석학이다. 저자는 ‘오순절’이라는 자신의 신학적 입장과 성서 해석이라는 과제의 두 실을 하나의 끈으로 엮는다. 자신의 출발점을 분명히 하면서도 자신의 목소리를 더 보편적 담론의 자리에 위치시키려는 노력도 반갑지만, 그가 다루는 주제의 폭넓음도 인상적이다. 성서 읽기와 성령의 이끄심에 관해 더 선명한 생각을 원하는 이들에게 좋은 참고서가 될 것이다.

—권연경, 숭실대학교


크레이그의 책은 신약 해석에서 텍스트의 원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의 중요성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텍스트에 매인 나머지 해석 과정에서 성령의 역할을 도외시해온 이성주의적 해석자들의 척박한 사막에 ‘생명의 성령’의 바람을 일으키는 도전적인 책이다.

—김경식,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키너의 『성령 해석학』은 복음주의적·오순절주의적 성서 해석학이다. 그의 성서 해석학은 복음주의에 확고하게 기반하고 있으면서 오순절주의에 특화되어 있다. 그의 성서 해석학은 한마디로 말씀 긍정, 성령 긍정, 성서적 체험 긍정의 해석학이다.

—김동수, 평택대학교, 한국신약학회 직전 회장, 한국오순절신학회 부회장


크레이그 키너는 성서를 경험적으로, 종말론적으로, 그리고 선교적으로 읽는 것에 대한 설득력 있는 안내서를 저술했다. 이 책은 그야말로 성령의 불이 함께하는 해석학이다!

—마이클 F. 버드, 호주 멜버른 리들리 대학

결정적으로 중요한 주제에 관해 이처럼 유용하고 상식적인 접근법을 탁월하게 다룬 이 책을 애정을 담아 추천한다.

—앤서니 C. 티슬턴, 노팅엄 대학교

  • 제목: 성령 해석학: 오순절 관점으로 성서 읽기
  • 저자: 크레이그 S. 키너
  • 출판사: 새물결플러스
  • 출간일: 2020년 12월 5일
  • 쪽수: 728쪽

Logos 사용자는 Logos의 도서들을 통해 기존 eBook에서 경험하지 못한 다양한 기능을 만날 수 있다. 주요 용어들은 Logos의 사전과 성경 백과, 그리고 사용자의 디지털 서재에 포함된 모든 자료들과 연결되어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 큰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 Logos의 강력한 검색 기능이나 모바일 기기와 연동되는 독서 계획표는 Logos만의 특별한 매력이다.

종합적인 연구 도구를 한번에 제공하는 Logos 성경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에게 보다 깊이 있고 입체적인 성경 연구의 기회를 제공한다.

신약 배경사 및 주석 분야의 세계적인 신약학자다. 신약과 기독교의 기원에 관한 연구로 듀크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스턴 침례신학교에서 15년 가까이 가르치면서 필라델피아 소재 아프리카계 미국인 침례교회의 협동목사로 섬겼으며, 현재는 애즈버리 신학교 신약학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IVP 성경배경주석: 신약』(IVP 역간), 『요한계시록-NIV적용주석』(솔로몬 역간), 『현대를 위한 성령론』(새물결플러스 역간), 『키너 요한복음 1, 2, 3』(CLC 역간), And Marries Another: Divorce and Remarriage in the Teaching of the New Testament (1991), Paul, Women & Wives: Marriage and Women’s Ministry in the Letters of Paul (1992), Matthew (IVP New Testament Commentary Series, 1997), 1-2 Corinthians (New Cambridge Bible Commentary, 2006), The Historical Jesus of the Gospels (2009), Romans (New Covenant Commentary Series, 2009), Miracles: The Credibility of the New Testament Accounts (2011), Acts: An Exegetical Commentary (4 vols., 2012-15), Galatians (New Cambridge Bible Commentary, 2018), Christobiography: Memories, History, and the Reliability of the Gospels (2019) 등이 있다.

Reviews

1 rating

Sign in with your Logos account

  1. Jisung Lee

    Jisung Lee

    7/25/2023

$3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