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Logos Edition
최근 수십 년 어간에 기독교권에서 느슨해지고 변화된 한 가지 인식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죄에 대한 인식이다. 죄 인식은 우리의 그림자와 같았다. 그리스도인들은 죄를 미워하고 슬퍼하며 두려워했다. 죄에 대해 소리 높여 지적하는 설교 또한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그림자는 점점 옅어졌다. 설교자들뿐만 아니라 전통적으로 도덕의식 관리자 역할을 해온 이들도 죄 문제를 무시하거나 사소하게 취급하거나 회피하는 경우가 흔해졌다. 죄에 관한 한 사람들은 이제 우물거리기만 할 뿐 명확히 말하기를 꺼려한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을 거슬러 코넬리우스 플랜팅가는 죄에 대해 다시 소리 높여 말하며 죄 인식을 되살리고자 한다. 죄를 몇 가지 각도에서 바라보고, 이웃한 개념들과 비교하여 죄의 윤곽을 날카롭게 한다. 이를 위해 저자는 먼저 죄가 무엇인지 정의하며, 죄가 어떻게 선한 것을 오염시키고 그 오염이 어떻게 확산되는지 설명한다. 또한 죄의 기생적인 특성 및 그 특성이 발생시키는 아이러니와 가식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어서 죄를 어리석음 및 중독과 비교하고, 죄의 ‘고전적인 자세’인 공격하기와 도망치기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결론을 내린다. 이 책은 죄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을 제시하지만, 그 재료와 배경은 성경을 넘어 현대 문화와 사건·역사·문학·영화 등을 포괄한다. 즉, 전통적인 죄 개념을 오늘로 가져와 다양한 일반 자료를 기반으로 이 시대 사람들에게 익숙한 언어로 제시한다. 그리하여 죄의 여러 측면이 현대인의 삶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이해하도록 돕는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은 두려움과 증오와 슬픔을 불러일으키는 ‘죄’라는 끈질긴 현실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것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우리 안에 숨겨진 어두움만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구주 안에서 희망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또한 창조의 고결함과 은혜의 아름다움도 새로이 맛보게 될 것이다.
우리는 죄와 악을 일상에서 실제로 경험한다. 삶은 죄로 인해 안팎으로 깨어져 슬픔과 고통으로 가득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죄에 관한 설교는 물론이요 깊이 있는 논의도 접하기 쉽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코넬리우스 플랜팅가는 그 기피 대상인 죄를 용기 있게 다루며, 성경적인 관점에서 죄의 본질과 역학을 꿰뚫어 보여준다. 이 책의 참된 매력은 구체적인 예들을 제시하여 죄의 윤곽을 누구나 볼 수 있게 분명히 그린다는 데 있다.
—신국원, 총신대학교 신학과 교수
이 책 『우리의 죄, 하나님의 샬롬』은 전통적인 조직신학적 관점이 아니라 문화적·윤리적 관점으로 죄를 분석한 독특한 책이다. 저자 코넬리우스 플랜팅가는 죄를 종교적·도덕적 개념, 즉 하나님을 슬프시게 하고 사물의 마땅한 존재 양식을 깨뜨리는 것으로 보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이해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죄가 중독, 중상, 희생양 만들기, 인종 차별과 같은 구체적인 행동과 문화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과정을 신선하게 풀어 나간다. 이 책은 우리 문화와 삶에 스며 있는 죄의 모습을 인지하고 대처하기를 원하는 이들에게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신원하, 고려신학대학원 기독교윤리학 교수
죄를 말하고 듣기를 거부하는 오늘의 문화에서 코넬리우스 플랜팅가는 담대하게 죄를 논한다. 이 책 『우리의 죄, 하나님의 샬롬』은 영화, 문학, 철학, 사회 문제 등의 다양한 소재들을 활용하여 죄의 본질과 양상을 명료하게 드러낸다. 그리하여 창조의 본래 모습과 은혜의 고귀함을 깊이 있게 제시한다. 저자의 이러한 신학적 안목과 방대한 지식을 통해 독자들은 죄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것이다.
—김병훈,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신랄한 주제를 다룬 생생하고 매력적인 책이다. 코넬리우스 플랜팅가는 우리의 어리석음을 기록하는 역사가요, 우리 사회의 관습을 그리는 풍자화가인 동시에 우리의 불행과 비탄을 기록하는 다큐멘터리 작가다. 죄를 다루는 책을 감히 큰 기쁨이라고 불러도 될까?
—진 베스키 엘시테인, 전 시카고 대학교 사회·정치 윤리학 교수
Logos 사용자는 Logos의 도서들을 통해 기존 eBook에서 경험하지 못한 다양한 기능을 만날 수 있다. 주요 용어들은 Logos의 사전과 성경 백과, 그리고 사용자의 디지털 서재에 포함된 모든 자료들과 연결되어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더 큰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 Logos의 강력한 검색 기능이나 모바일 기기와 연동되는 독서 계획표는 Logos만의 특별한 매력이다.
종합적인 연구 도구를 한번에 제공하는 Logos 성경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에게 보다 깊이 있고 입체적인 성경 연구의 기회를 제공한다.
저자 코넬리우스 플랜팅가 Jr. (Cornelius Plantinga Jr.)는 칼빈신학교에서 예술과 신학을 전공했으며 프린스턴신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9년부터 1996년까지 칼빈신학교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쳤고,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칼빈신학교의 총장으로 섬겼다. 현재 칼빈신학교 명예총장으로, 칼빈대학 부속기관인 ‘칼빈 기독교 예배 연구소’에서 연구와 집필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그는 전공인 신학 외에 영화·문학·철학·역사 등에도 해박하여, 전문적인 신학 주제를 현대인들이 알아듣기 쉽게 전하는 데 탁월한 능력이 있는, 몇 안 되는 신학의 거장이다. 2003년 이후로는 해마다 ‘설교를 위한 독서 세미나’를 개최하여 설교자들이 시대와 사람을 이해하는 설교를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 세미나에서 만난 수많은 설교자들과 모은 독서의 지혜를 이 책 『설교자의 서재』로 엮어내어, 2014년 「크리스채너티 투데이」 Book Awards 교회·목회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그 외에도 「크리스채너티 투데이」 1996년 올해의 책 Not the Way It’s Supposed to Be, 2003년 올해의 책 『기독 지성의 책임』(Engaging God’s World, 규장) 등 다수의 책을 집필했다.